가장 많이 본 글

2016년 9월 14일 수요일

혼자 살기(Living Alone)

전 세계적으로 혼자살기(Living Alone)가 대 유행이다.
스웨덴의 경우 인구의47%가 혼자 산다고 한다.
나 또한 이런 유행을 따른 것은 아니지만 "황혼 이혼소송"을 제기한 전 마누라 덕에 뜻하지 않게 환갑이 훨씬 지난 나이에 속칭, 돌씽이 되었다.

이혼소송 직전 가출한 전 마누라 덕에 세간살이는 모두 내 차지가 되어 2015년 연말 이사하기 전, 세간살이를 분류하여 별 볼일이 없는 것은 버리고 쓸만한 것은 팔기도, 아는 사람에게 거저 주기도 하며 네사람이 쓰던 세간살이를 1인 가구에 맞추느라 혼이 나기도 하였으나 덕분에 모든 값나가는 가재 도구는 내 차지가 되어 전혀 불편없이 살고있다(없다면 사면 그만이겠지만).

전기 먹는 하마였던 미국제 문 두짝짜리 대형 냉장고를 폐기물 수거업체에 넘기고(물론 무료로 수거한다) 위, 아래로 냉동실과 냉장실이 있는 냉장고 중 제일 큰 모델인 LG전자의 580리터 짜리, 에너지소비효율 2등급 짜리 냉장고를 새로 구입한 것은 정말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덕분에 나는 지금 종전 39평 아파트에서 살 때 최고로 많이 낸 전기요금의 1/10 정도에 불과한 월 7~8천원의 요금을 내고있다.

이불 빨래까지 가능한 14kg 짜리 드럼세탁기도 2013년 내가 아부다비의 해외공사 현장에서 근무할 때 산 것이라 쌩쌩하고 조금 오래된 것이기는 하나 일제 코끼리표 전기 밥솥도 아직은 쓸만하다.
혼자사는 처지에 과분한 가스오븐 레인지는 새로 가스레인지를 살 필요는 없다 싶어 이사할 때 가지고 왔는 데 빵굽는 오븐은 별 볼일이 없으나 위쪽의 그릴은 생선이나 고기를 구워 먹을 때 엄청 편리하다. 불꽃이 위, 아래에서 만들어져서 고기나 생선을 굽는 방식인 데 불꽃이 음식물에 직접 닿지않아 타지도 않고 골고루 잘 구워진다.

고등학교 3학년 때 부터 시작하여 대학교 4년간 다닐 때까지 자취생활을 한 경험이 있어 밥 짓고 반찬 만드는 데 어려움은 없으나 조금 귀찮은 것은 사실이다. 밥은 1주일 정도는 먹을 수 있도록 백미와 찹쌀, 잡곡을 넉넉히 넣고 지어 플라스틱 식품 보관 용기에 담아 충분히 식힌 다음 냉장고의 냉장실에 넣어두었다가 식사 때 마다 먹을 만큼 덜어 전자레인지에 넣고 2분 30초만 돌리면 따끈 따끈한 밥이 된다. 동묘역 부근 중고시장의 식품 가게에서 사온(유통기한은 절대로 지나지 않았다, 유통기한이 지난 것을 팔면 불법이 된다) 닭곰탕을 공기에 덜어 랩으로 싸서 같이 넣으면 밥과 국이 동시에 데워진다. 여기에 이마트에서 사온 포기 김치와 이수시장에서 사온 밑반찬 몇가지를 더하면 훌륭한 한끼 식사가 된다.

어떤 동네에 사는가 하는 문제는 특히 혼자 살 때는 매우 중요한 것 같다.
내가 선택한 이곳, 서울 서초구 방배4동의 방배초등학교 부근은 지하철 4호선과 7호선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고 이수역 건너편에 재래시장도 있고 이수 사거리에서 가까운 곳에 이마트메트로가 있어 생활비가 전에 살던 곳 보다는 덜 드는 것 같다. 반포4동의 그 유명한 "서래마을"에 살 때는 수퍼에서 제주산 생수를 한병에 1,000원씩 사 먹었는 데 이마트에서는 포천산 생수를 반값에 불과한 500원씩에 판다. 또한 이마트의 PB 상품인 "No Brand"라는 희한한 상표가 붙은 저렴한 식품, 생활용품이 있어 좋다.

혼자사는 늙은이인 내가 반찬을 일일히 해 먹기는 어려운 데 이수역 건너편의 재래시장에 가면 이미 만들어 놓은 각종 반찬을 입맛대로 사 먹을 수도 있다.
이사온지 2~3개월만에 발굴한 방배경찰서의 구내식당은 일금 4,000원이면 한끼 식사가 가능한 데 토, 일요일에 문을 열지않는 것이 흠이기는 하지만 집에서 해먹는 집밥보다 싼 것 같다. 일하러 나가지 않는 날, 집밥에 싫증이 날때면 가끔 들러서 식사를 한다.

2001년초 다니던 중소기업에 다니다가 짤린 뒤 "도둑질도 하는 데 내손으로 벌어먹는 '노가다'는 못하랴?"는 심정으로 시작한 일당 전공은 내 일생의 몇가지 결정 중 최고로 잘한 일 일 것이다. 덕분에 환갑을 지난 이 나이까지 일을 할 수 있으니 당시, 쉽지않은 현명한 결정을 한 내 자신이 새삼 대견스럽다.

얼마전부터는 그 동안 나가던 용역업체(일당 일감 소개업체)를 나가지 않고 그간 알고있던 사장님들이 부르는 대로 일을 나가는 데 하루 8시간 노동에 일당으로 16만원을 받는 데 적지않은 돈이다. 어떤 사장님은 (일을 잘하니까)팁으로 만원을 추가하여 17만원을 주시는 분도 있고 18만원씩 주시는 분도 있다. 한달에 10~15일 정도는 일이 있어 전 마누라가 덜어가고도 남은 50만원 가량의 국민 연금이 있어 지출보다 수입이 많아 은행 잔고는 계속 불어나고 있다.

혼자 살아 좋은 것은 생활에 간섭을 하는 사람이 없어 어떤 사람과 의견 충돌할 일도, 다른 사람의 뜻에 나를 맞추어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내가 졸리면 8시 뉴스를 본 뒤에 바로 잠자리에 들어도 되고 어떤 일에 열중하다가 자정을 넘어 잠자리에 들어도 그 어떤 사람으로부터 재촉을 받을 일도 없다.
더운 여름날, 밥이 먹기 싫을 때는 인스턴트 냉면을 끓여 냉동실에 잔뜩 얼려둔 얼음을 듬뿍 넣어 느긋하게 먹어도 좋다.
결혼하면서 아들놈이 버리고 간 우퍼까지 달려 제법 성능이 좋은 PC용 앰프/스피커에 중국의 Aliexpress 사이트에서 구입한 블루투스 리시버를 달아 휴대폰에 저장된 MP3 음악을 큰 소리로 듣기도 하지만 시끄럽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다.

방배동에 전세로 구한 다세대주택은 방 2개에 주방과 화장실이 딸린 17평 남짓 되는 데 북쪽면과 서쪽면에만 창이 있어 조금 어둡지만 그리 큰 문제는 아니다. 방 한개는 침실겸 서재로 사용하고 나머지 방은 창고 겸 작업실로 만들었다. 내가 좋아하는 전자공작을 위한 부품 보관상자가 작업용 책상 주변에 키높이 보다 높게 쌓여있고 책상 위는 항상 잡동사니로 가득하나 "지저분하다" 거나 "치워라"고 말하는 사람이 없어 편하다.
작업실에는 내가 옛날부터 갖고 싶었던 고주파 전기인두기(20초 정도면 목표 온도에 도달한다, 중국제 이지만 성능은 쓸만하다)를 구입하여 비치하였고 30V, 3A  짜리 전류, 전압이 조정 가능한 Power Supply도 있다. 성능이 괜찮은 수준의 USB Oscilloscope를 갖고 싶은 데 가격이 최소한 300불 이상이라 망설이다가 최근에는 장난감 수준의 Oscilloscope를 한대를 Aliexpress에서 직구로 삿다. 가격이 너무 비싸서가 아니라 그만큼 활용이 되지않을 것 같아서 결정을 미루고 있다. 이 장난감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300불이라도 쓰면 되는 것이지...

후기: "혼자 살기"는 졸업했다.
마음이 맞는 1965년생, 16살 연하의 미국인 마누라, Kimberly를 만나 2017년 10월28일 결혼식을 올리고 "같이 살기"가 시작되었다.
새 미국인 마누라 Kimberly가 마음에 드는 제일 큰 이유는 중고품을 절대로 배척하지 않는 것이다. 내가 동묘역 벼룩시장에서 구해온 어떤 물건이라도 "와 이거 좋은 건 데 싸게 샀어!" 하고 자랑할라치면 "오 그래 너 오늘 재수 좋았네?" 하고 맞장구를 쳐준다.
한국 여자였다면 내가 입도 뻥긋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고 몰래 내방에 감춰 놓아야 할 것이다.
미국인 새 마누라는 내 취미 생활을 잘 이해해 준다. 새로운 같이 사는 집은 방이 3개라 문간방 하나는 내 취미 작업실로 승인되어 방배동 살때 찍은 위 사진과 별 다름 없다.
처음 몇달은 문화적인 배경이 달라 가끔은 대판 싸우기도 하였지만 지금은 별 싸울 일이 없다.
신혼 살림은 새 마누라의 직장에서 그리 멀지않은 강동구 성내동에 차렸다.

2016년 8월 5일 금요일

간편한 적산전력계(Plug-in Type Watt-hour Meter)

요즘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데 가정용에서의 에어콘은 전기요금 폭탄 때문에 쉽게 틀지도 못하고 그러다 보니 "하루 몇시간씩 사용할 경우 한달 전기요금이 얼마나 청구될 것인지"를 묻는 전기요금에 대한 문의가 네이버의 지식IN에 매일 한, 두건은 올라오는 것 같다.

사실 사용량에 따른 전기요금은 한국전력의 홈페이지(여기에 링크)에서 형태로 제공되고있어 사용하는 에어콘의 용량을 알면 사용 시간을 곱하여 간단히 알아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가정에서 에어콘의 가동은 기온과의 상관 관계가 많으며 가정용 전기요금의 누진제 방식과 전등 부하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하루에 몇시간식 사용~" 하는 방식의 질문에 대한 답변은 조금은 막연할 수 밖에 없다.

정확한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에어컨에 전용 적산전력계(Watt-Hout Meter)를 설치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기는 하나 아마튜어가 실시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런 연유로 가정 또는 업소의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데 매우 적합한 측정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위 사진과 같은 모양의 이 측정기는 한국에서 사용하는 독일식 220V 플러그와 리셉 단자가 양쪽에 달려있어 사용중인 전기장치의 플러그를 빼고 이 측정기를 통해 플러그를 연결하면 된다.
표준 화면에는 현재 사용중인 전력(Watt)이 표시되는 데 Mode 보턴으로 사용 전력량이나 전력요금(단가를 입력해 주면 된다)을 표시해 준다.
일종의 간이식 메타이므로 높은 정밀도는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 측정기는 Aliexpress(여기에 링크)에서 팔고있는 데 가격(U$11.48)도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1만5천원 정도라 그리 큰 부담이 되지는 않을 것 같다.

2016년 7월 22일 금요일

방화용 화재감지기에 4가닥의 전선을 사용하는 이유(Why 4 wires are used for fire detectors?)

낮잠을 자다가 전화가 울려 받으니 "여기는 창원인데요~로" 시작하는 황당한 질문을 받았다.
화재수신반과 화재감지기에 관한 내 블로그의 게시물을 보고 전화를 했던 모양이다.

일반적으로 안전 또는 보안에 관련된 회로는 폐회로를 사용한다.
평시에 이 폐회로에 전류를 흘려 감시 상태에 두었다가 해당 센서가 작동(회로의 열림, NC->Open) 또는 선로가 단선이 되었을 때를 작동 신호로 삼을 경우 완벽한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어떤 기계장치의 "비상정지" 보턴이나 침입자 감시 장치에서의 "문열림 스위치" 같은 것이 이런 경우에 해당한다.

그런데 화재감지기는 (완전한 스위치는 아니지만) 화재가 발생하면 평시에 DC 24V 내외가 측정되는 두 단자가 붙는 스위치 기능을 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연결된 전선로가 언제든지 끊어질 수 있어 앞서 말한 "안전"의 관점에서 보면 허술하기 짝이 없는 장치라 하겠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장치가 "보내기 받기식" 또는 "송배전방식"이라고 불리는 화재감지기의 특별한 연결방식이다.

화재수신반의 "회로" 단자에 연결된 소화전 또는 속보세트의 "회로" 단자에서 출발한 2가닥의 전선이 각 화재감지기를 차례로 이어서(2가닥을 앞에서 받고 2가닥을 다른 화재감지기로 보내준다) 마지막 2가닥의 전선을 소화전 또는 속보세트까지 가져와서 여기에 "종단저항" 이라고 불리는 1/4W, 10kOhm짜리 저항을 연결한다.
두가닥의 전선으로 신호를 받아서 두가닥의 전선으로 보내는 방식

소화전 또는 속보세트 내부의 연결(종단저항)


이렇게 회로를 구성함으로서 화재수신기에서 언제든지 "도통시험" 기능을 동작시켜 약 24mA(24V/10,000Ohm) 내외의 전류가 회로상에 흐르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모든 화재감지기가 정상적으로 연결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 하자면 화재감지기는 "안전"의 측면에서 볼 때 조금은 허술한 회로이기는 하나 특별한 연결 방법을 이용하여 회로의 단선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이 문제를 보완한 회로라고 말 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 외에도 탬퍼 스위치 압력 스위치, 기타 화재수신반 관련 소자에는 대부분 종단 저항을 사용한 "도통시험" 기능이 있다.

RF(Radio Frequency) 방식의 무선 스위치 소개

일반적인 UV(Ultra-Violet 원적외선) 방식의 리모콘은 수신장치의 수광부에 맞추어 주어야 하는 것 과는 달리 이 RF(Radio Frequency) 방식의 무선스위치는 방향성이 없어 그냥 들고 작동만 시키면 된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여닫이 문을 미닫이로 바꾸어 스위치를 달기 어려울 경우
2. 가구로 인하여 스위치가 가려서 사용이 불가능 할 때
3. 새로운 전등을 추가한 뒤에 스위치용 전선의 추가가 어려울 때
4. 거실 전등을 다단계의 밝기로 사용하고 싶을 때
5. 스위치의 위치가 적절하지않아 끄고 켜기가 매우 불편할 때

리모콘에는 A, B, C 및 D로 표시된 보턴이 있는 데 A, B, C는 각 전등을 개별 점등/소등할 때 사용하고 D 보턴은 일괄 점등/소등이 가능한 보턴이다.
수신부 뒤에있는 회로도 대로 결선하면 되는 데 적색선은 전원(Phase)선이고 검정선은 전등 공통(Neutral) 이며 청색(A), 백색(B) 및 황색(C) 선을 각 전등에 연결하면 된다.

시중의 전문 전기재료상에서 구입가능한 데 어떤 한 전기공사 현장에 필요하여 내가 오늘(2016.7.22) 구입한 금액은 16,000원이다.

수신 장치는 전등 전원으로 작동하고 리모콘 스위치는 12V 짜리 소형 건전지로 작동하는 데 사용하다가 방전이 된 경우는 전등 판매 전문점이나 전기재료상에서 개당 1,000원 정도로 구입가능하다.
이 스위치의 수신부는 작동용 전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벽의 스위치 대용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고 중성선이 있는 전등 내부 또는 천정속에 설치하여야 한다. 물론 이 경우 기존의 스위치는 켜진 상태로 두어서 이 수신부가 계속 전등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기존의 스위치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스위치에 연결되었던 전선을 전부 스위치가 켜진 것과 같이 연결해 주어야 한다.

나는 아래의 사진과 같이 Plastic Box(200x100x55mm)에 이 무선 스위치를 설치하고 3개의 기구용 Outlet을 설치한 뒤에 책상위의 전등, 선풍기 등을 연결하여 침대에서 이 리모콘을 작동시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다.




2016년 5월 16일 월요일

Wall Outlets of Korea(South) - Traveler Information

The hole in Plug is not required for Korean Wall outlet
The voltage step up from 110 to 220V(60Hz) in Korea was started from the year 1973 and the wall outlet for 220V was adopted From the German Standard(Type F, photo).

Since of it, if you travel to Korea, you would better to provide plug adapters for your mobile or laptop power supply, just same like to be applied Germany.

The mostly known as "Type F" plug have two round pins, diameter 4.8mm and spaced 19mm. There shown a hole in the plug of the photo but the hole for ground connection is not required (some European countries are using) for Korean wall outlets and the ground connection is made through the pins, shown up & down, of wall outlet and terminals on the plug surface.

Another type of plug is accepted for the Korean wall outlets which has no ground connection, mostly used for double insulated electric appliances. The plug shape is identical with "Type C" but the pin diameter is not 4.0mm of "Type C" but 4.8mm (same as "Type F").

Please be aware the "Type C" plug looks like to fit "Type F" wall outlet but "Type C"(4.0mm dia.) plug makes loose fitting with "Type F" what means a bad electric contact and the bad contact could make unstable contact with sockets and could yield another problem. It would be very dangerous too.

I found a website with wrong information, showing the applicable plug types in Korea as "Type C" and "Type F".
I had made an advise to show just "Type F" only and they have corrected the information(refer to this link).

"Type C" plug have two 4.0mm of pins but no good contact with "Type F" socket.